본문 바로가기

패리티비트2

Wiegand 통신 Wiegand protocol: 두 개의 D0, D1 라인을 이용해 소량의 데이터를 전송 하는 방식으로 , 주로 출입통제 장치의 리더와 컨트롤러 간의 통신 방식 리더는 RS-485, RS-232, ABA-Track II 와 같이 다양한 통신 방식을 취하기도 하지만,RFID 통신으로 주로 WIEGAND 방식을많이 사용 합니다. 기본 상태 -> D1 : High, D2 : Highlogic 1 -> D1 : LOW, D2: HIGHlogic 0 -> D1 : HIGH , D2 : LOWD0, D1 이 각각 의미 하는 것은, D0 가 LOW 이면 그 비트 값이 '0' 이고, D1 이 LOW 이면 그 비트 값이 '1' 임을 의미 합니다.따라서 D0 와 D1 은 동시에 LOW 가 되지 않으며, 정해진 타이밍이 있.. 2024. 9. 8.
[데이터 무결성 / 오류 확인 기법] 패리티 비트, 체크섬, CRC, 해쉬, 대칭키, 비대칭키 통신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오류 체크를 위해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이 포스트에서 정리 하고자한다.패킷 오류 체크Parity bit 패킷 통신 중 오류 검사용 추가 비트. 한비트의 데이터로 1의 갯수가 짝수인가 홀수인가를 나타낸다 짝수 패리티 : 전체 비트에서 1의 개수가 짝수가 되도록 패리티 비트를 정하는 것홀수 패리티 : 전체 비트에서 1의 개수가 홀가 되도록 패리티 비트를 정하는 것 일반적으로 데이터 크기에서 1bit 패리티 비트로 추가로 이어서 전송한다. UART 통신에서 한비트의 데이터에서 1bit 패리티 비트를 추가해 1의 갯수가 짝수인가 홀수인가를 확인하여 패킷 오류를 체크한다.ex) 이진수데이터 + 패리트 비트(8비트)데이터 포함 8비트데이터(7비트)홀수 패리티짝수 패리티000.. 2024. 7. 7.